고향사랑기부제 혜택 확대
집중호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에 고향사랑기부를 하면 세액공제 혜택이 2배로 확대됩니다. 기부를 통해 피해 복구에 힘을 보태고, 세제 혜택과 지역 특산물 답례품까지 받을 수 있어 국민 참여형 재난극복 캠페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별재난지역에 기부하면 세액공제 2배
2025년 7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경기 가평, 충남 서산·예산, 전남 담양, 경남 산청·합천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이 지역에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기부하면 세제 혜택이 두 배로 확대 적용됩니다. 기존에는 10만원 초과 기부금에 대해 16.5%의 세액공제율이 적용되었지만, 특별재난지역에 기부하는 경우 33%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단순한 기부가 아니라 세제 혜택까지 돌아오는 이중 효과를 갖는 제도로, 선포일로부터 3개월간 적용되는 한시적 혜택입니다. 특히 고향사랑기부제는 특정 지자체를 지정하거나, 해당 지자체의 복구 사업을 선택해 기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피해 복구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식의 참여가 가능합니다. 이는 단순한 온정 나눔을 넘어서 효과적인 재난 회복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더 많은 국민이 고향사랑기부제에 참여함으로써 피해 지역의 복구와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 국민 참여형 복구 캠페인
고향사랑기부제는 지방자치단체에 개인이 기부를 하고, 일정 수준의 답례품을 받는 제도입니다. 특히 재난 발생 시에는 해당 지자체의 피해 복구 사업을 지정기부 형태로 지원할 수 있어, 최근 국민 참여형 복구 캠페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적으로 28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다수의 공공시설이 파손되었습니다. 이런 피해를 입은 지역에 고향사랑기부금을 전달하면, 기부금은 공공시설 복구, 예방시설 구축, 지역 경제 회복에 직접 사용됩니다. 기부자는 ‘고향사랑e음’과 같은 공식 플랫폼 또는 민간 기부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으로 손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별로 다양한 지역 특산품 답례품이 제공됩니다. 이는 단순한 기부를 넘어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특히 지난 3월 영남지역 산불 당시에도 고향사랑기부제가 실질적인 복구 재원 마련에 기여한 바 있어, 이번 집중호우에도 많은 기대가 모이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장기적으로 지방소멸 대응 및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기부도 세제 혜택도, 피해 복구까지 한 번에
고향사랑기부제의 가장 큰 매력은 참여자와 지역사회 모두가 혜택을 누리는 구조라는 점입니다. 기부자는 최대 500만원까지 기부 가능하며,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가 적용되고, 초과분은 일반적으로 16.5%, 특별재난지역에는 33%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만원을 특별재난지역에 기부하면, 10만원은 전액 공제되고 나머지 20만원에 대해서 6만6천 원(33%)의 세액 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이와 함께 해당 지역의 농산물, 특산물, 수공예품 등 다양한 답례품이 제공되어 실질적인 경제적 혜택도 큽니다. 이처럼 고향사랑기부제는 단순한 기부가 아닌 합리적 기부, 참여형 복구, 경제적 이익이 결합된 사회적 캠페인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국민의 높은 참여율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고향사랑기부금이 모일수록 더 빠른 복구와 더 넓은 경제 재건이 가능하다고 강조하며, “한 사람의 기부가 지역을 살린다”는 메시지를 널리 전하고 있습니다.
이번 특별재난지역에 대한 고향사랑기부는 단순한 온정이 아닌, 세액공제 혜택, 지역 경제 활성화, 재난 복구 지원이 동시에 실현되는 실용적 참여 방식입니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작은 기부가 모여 더 빠르고 따뜻한 회복을 이끌 수 있도록, 이번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보는 것은 어떨까요?